이미지 일람
고대 중국에서는 동쪽바다 위에 선인이 사는 늙지 않고 죽지 않는 땅인 봉래산(蓬莱山)이 있다고 믿어왔다. 구름같기도 하고 바다에 떠있는 섬처럼도 보여 속인이 가까이 가려고 하면 바람에 날려 멀리 가버린다고 한다. 육조(六朝) 시대에 성립해 있던《열선전(列仙伝)》(선인의 전기집)은 큰 거북이가 봉래산을 등에 업고 있다고 설한다. 이 벼루상자는 그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두껑, 몸체, 벼루 속에 들어가는 작은 상자 모두 주석으로 테두리를 두르고 에마키의 한 종류인 바탕에 옻칠을 한 후 금은박을 뿌리는 나시지(梨地) 기법, 금으로 두껍게 그리는 긴타카마키에(金高蒔絵) 기법, 금을 붙여 그리는 긴쓰케가키(金付描) 기법, 그리고 은조각을 붙여 그리는 긴키리카네(銀切金) 기법 등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해서 봉래산을 그리고 옛스럽고 단아함을 나타내는 한편 거북이의 표정 등은 어딘가 모르게 해학적이기도 하다.
《운슈쿠라초(雲州蔵帳)》중에 ‘시대봉래마키에(時代蓬莱蒔)’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마쓰다이라 후마이(松平不昧, 1751〜1818년)의 옛 소장품 중의 명품으로서 알려진 벼루상자이다.
101132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