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문화재선각관음경상(송식학장방경)

이미지 저장

image 全画面表示
  • 1점
  • 동제주조
  • 표면세로19.9 표면가로12.5 가장자리두께0.55 가장자리폭0.18
  • 헤이안∼가마쿠라시대·12∼13세기
  • 도쿄국립박물관
  • E-20060

 경상(鏡像)은 동경의 거울면에 불상이나 신상을 선으로 새겨 넣은 것인데, 드물게는 채색을 한 경우도 있다. 경상이 일본에서 제작되기 시작한 것은 10세기 후반~말기의 일이다. 신체(神體)로 받들어지는 일이 많은 거울에 본지수적(本地垂迹)* 사상을 바탕으로 그 신의 본지불(本地佛)인 불상을 새기면서 발생했다는 설이 일반적이나, 현존하는 작례로는 초기의 경상에 만다라적인 군상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많고 월륜 안에 밀교존을 관상(觀想)하는 밀교의 작법을 배경으로 하여 그 월륜과 존상을 거울과 상으로 옮겨놓은 데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또한 중국의 오대~송대(10세기)에도 경상의 유례가 있어 그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상은 백동으로 주조된 직사각형의 거울면에 연화좌를 양손에 받쳐 들고 꿇어앉은 관음보살상을 선으로 새긴 것이다. 거울 뒷면인 경배(鏡背)에는 상부와 하부에 솔잎을 물고 있는 학, 그 사이에 소나무 가지를 배치하였다. 얇은 경태(鏡胎)는 직사각형 형태를 하고 있는데, 주로 원형이 많은 화경 중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것이다. 문양은 선명하게 주조되었고 그 디자인은 화경 제작이 가장 활발하던 헤이안 시대 후기의 품위 있고 단아한 멋을 잘 반영하고 있으나, 문양의 표현에 다소 딱딱함이 엿보이는 점에서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한편 관음상의 선은 정토교 전파에 영향을 받아 헤이안 시대 후기 이후에 번성했던 내영(來迎)*의 관음이나, 선에는 굵고 가는 정도가 두드러지므로 거울 그 자체보다는 꽤 시대가 지난 후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거울 상부 두 곳에 동그란 구멍이 뚫려 있어 끈을 넣어서 매달아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 본지수적: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신성한 몸을 드러내는 일
* 내영: 사람이 죽을 때 부처나 보살이 나타나서 극락정토로 맞아들이는 것

부분일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