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문화재미륵불 입상

이미지 저장

image 全画面表示
  • 1구
  • 높이 53.5
  • 중국 북위시대, 443년
  • 규슈국립박물관
  • C3

 통견에 납의를 걸치고 양팔을 굽혀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내밀었고 오른손은 손바닥을 정면으로 향했다. 네 다리 대좌 위의 연화좌에 양다리를 벌리고 서 있다. 육계와 본머리 부분은 각각 소용돌이 모양으로 표현했고, 귓볼은 고리 모양을 하지 않으며, 목에는 3개의 줄(삼도)가 보이지 않는다. 손에는 만망상을 표현했다. 네 다리 대좌의 각 면 안쪽을 고사리 모양으로 표현했고, 정면에 거치무늬와 물병을 선각으로 새겼다.
 동으로 주조하였는데, 불상 본체와 대좌를 함께 주조한 일주 기법으로 만든 뒤 도금하여 완성하였다. 주조 기술이 우수하다. 전체높이 53.5cm에 달하며, 북위시대의 금동불로서는 아주 큰 불상이다. 뒷면 거의 중앙에 사각형(세로 3cm、가로 2cm) 창이 있어, 안에 무언가 봉안품을 봉안했을 가능성이 있다.
 네 다리 대좌의 뒷면부터 왼쪽 측면에 걸쳐 명문이 새겨져 있다. 북위 태평진군 4년(443년)에 현재 중국 허베이성 보예현에 사는 사람이 황태자를 위해 그리고 부모 등 일족을 위해 미륵으로부터 불법을 받아 길을 얻기를 바라며 불상을 조성했다는 취지의 조성 유래를 알 수 있다. 당시 중국은 태무제의 치세(재위 423~452)로, 태평진군 7년에는 도교를 중용한 나머지 불교를 탄압하는 대규모의 가혹하고 맹렬한 폐불 정책이 단행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시기보다 이른 시기의 불상이 현존하는 예는 극히 드물어, 이 불상의 존재는 귀중하다.
 몸이 날씬하게 뻗었고, 양팔 양다리를 크게 좌우로 힘차게 벌리고 당당히 선 모습과 얇은 납의를 몸에 밀착함으로써 힘찬 육체를 강조한 점은, 중국 간쑤성의 사찰 병령사 석굴 제169굴의 여러 상의 작풍과 공통되는 부분이 있어, 인도의 굽타 양식 등 보다 서방 지역의 불상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미소를 띤 얼굴, 계란형 두상, 2~3줄의 능선으로 구성되는 옷 주름 표현 등, 북위시대의 불교 복구 이래 제작된 금동불과 공통되는 특징 또한 이미 이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찌 되었든 중국 북위시대의 세련된 대형 불상 작품으로서, 또 중국 고대 불상의 변천을 알아갈 수 있는 작품으로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부분일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