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문화재삼존 불감

이미지 저장

image 全画面表示
  • 중국 시안시 보경사 전래
  • 1점
  • 석조 부조
  • 전체 높이 104.5
  • 중국 당시대, 8세기
  • 규슈국립박물관
  • C2

 보경사 절 석불군으로 불리는 30여 점의 부조 불감 중 하나로, 중국 당대 조각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다. 보경사 절은 중국 명나라 장안성의 남문에 해당하는 영녕문 근처에 있던 사찰로, 현재는 이 불감과 함께 하나의 작품군을 형성하는 여러 점의 감상(석벽 등을 파낸 벽감에 새긴 불상)이 모셔진 벽돌탑이 남아 있을 뿐이다.
 보경사 절 불당 내에 안치되어 있던 이 작품군은, 원래는 당나라 장안성 대명궁의 바로 남쪽에 위치한 광택방에 조영된 사찰 광택사의 칠보대에 안치되어 있었던 사실을, 이 불감을 포함한 여러 점의 작품에 남겨진 명문을 통해 알 수 있다. 또 장안3년-4년(703-704), 개원 12년(724)이라는 연대 기록이 있어, 8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광택사 절은 677년에 이 지역에서 불사리가 발견된 기적을 기념하여 세워진 사찰로,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 무측전(재위 690년-705년)이 이곳에 칠보대를 건립하고, 석불군을 장엄구로 사용했다.
 이 불감 또한 보경사 절 석불군의 하나로, 여래 좌상을 중존으로 한 삼존 형식의 작례이다. 보경사 절 석불군은 삼존 형식과 독존 형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삼존 형식의 작례는 중존이 항마인을 결한 여래 좌상, 시무외인을 결한 여래 좌상, 시무외인을 결한 의좌(의자에 앉아 양 다리를 내린 상태) 형태의 여래상으로 나눌 수 있다. 독존상으로는 십일면관음보살 입상이 있다. 명문 기록을 통해, 삼존상 중 시무외인을 결한 여래 좌상은 아미타여래, 시무외인 수인을 한 의좌상은 미륵여래를 의도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항마인을 결한 좌상은, 보관을 쓴 작례와 대좌의 형식이 수미좌, 연화좌의 2종류가 있는 등 다양성을 지니는데, 이는 당시 인도에서 유행한 석가여래상의 모습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불감의 중존은 오른손으로 시무외인을 결하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렸놓았으며, 이중 원상 광배를 지니고 대좌를 받치는 팔각 밑받침(광좌) 위에 결가부좌했다. 좌협시는 중존을 향해 합창하였고, 우협시는 오른손에 정병을 들고 연대좌(좌협시 측은 결손)에 섰다. 삼존에는 각각 천개가 덮였는데, 양 협시의 것은 아래쪽부터 뻗어온 줄기 끝에 달린 개부연화를 천개로 삼은 것이 특이하다. 이러한 도상은 보경사의 다른 불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하단부 직사각형 구획에 새겨진 명문에는 풍봉익, 막순지 등의 내관 이름이 즐비하여, 이 불감이 다수 인물에 의해 봉헌된 것을 알 수 있다.

부분일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