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구에 비해 머리와 수족을 크게 표현한 귀염성 있는 얼굴의 여래상이다. 대좌를 덮은 천에는 부드러운 질감이 나타나며, 두발에는 어자무늬, 옷 가장자리와 의문의 귀퉁이에는 연속 점무늬를 각각 다양한 정을 사용해 표현하는 등 새긴 기법도 섬세하다. 이러한 동자형 상은 7세기 후반에 다양한 변화를 보이며 전개 되고, 이 시기의 조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체와 대좌를 한 덩어리로 주조하였으며, 본체의 가슴까지 내부가 비어있다. 동의 두께는 두꺼운 편이며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하다. 뒷면 중앙쯤에 방형의 형지(型持)를 설치했다. 두발에 어자무늬 정을 사용하고, 치마와 대좌를 덮은 천의 가장자리 등에는 특수 정을 사용하여 연속 점무늬를 표현했다. 두발을 제외한 거의 전면에 도금이 남아있으며, 두발에 군청색, 입술에 주홍색(혹은 벵갈라)으로 채색했다. 한편 오른손 2번째 손가락은 떨어져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