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일람
엔랴쿠지(延暦寺) 절의 제10대 지주인 조묘(増命)가 입적하자 조정에서는 그에게‘정관(静観)’이란 시호를 내렸다. 동시에 그의 스승인 엔친(円珍)을 승려 최고위직인‘법인대화상위(法印大和尚位)’로 승격시키고‘지증대사(智証大師)’란 시호를 하사했다. 엔친 사후 36년째 되는 927년의 일이다.
다이고(醍醐) 천황의 명에 의한 이 칙서는 후지와라 히로부미(藤原博文)가 글을 짓고 오노 미치카제(894-966)가 정서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한 남색으로 물들인 종이에 담묵의 괘선을 긋고 양감있고 중후한 일본풍의 서체로 기백 넘치게 씌여져 있다. 일본풍 서도의 창시자라고 일컫는 미치카제는 당시 34살. 칙서와 위기(位記)*를 담당하는 중무성(中務省)의 소내기(小内記)라는 직책을 맡고 있었다.‘천황어새’인 붉은 인장이 13곳, 뒷면에 2곳 찍혀 있다.
엔친(814-891)은 엔랴쿠지 절의 제5대 지주로서 천태종 사문파(寺門派)의 개조이며 온조지(園城寺)*를 중흥시키기도 하였다.
*위기:관위를 하사할 때 주는 문서
*온조지:미이데라(三井寺)라고도 부름
100165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