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일람
사미다타카라총 고분은 나라현 기타가쓰라기군 가와이초 사미다에 위치해 있다. 나라분지의 사방으로 펼쳐지는 우마미 고분군 안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대형 전방후원분이다. 규모는 전체 길이 111.5m, 후원부 지름 60m, 분구의 높이는 8m에 이른다. 메이지14년(1881)에 지역 주민에 의해 후원부가 발굴되어, 거울과 옥류, 석제모조품 등 다수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재 궁내청서능부, 도쿄국립박물관, 나라국립박물관이 이 유물들을 각각 보유하고 있으며, 본 신수경(神獸鏡) 3점은 나라국립박물관 소장분이다.
신수경은 원래 중국의 신선사상과 음양오행설에 근거한 것을 뒤쪽에 그린 거울로,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후한에서 남북조시대에 걸쳐 주로 강남 지방에서 활발히 제작된 거울이다. 일본으로 건너온 것과 이를 기초로 일본에서 제작된 것도 많은데, 특히 외구(外區)에 폭 넓은 거치문대와 파문대를 비치하고 둘레를 삼각형으로 만든 것을 삼각연신수경이라 부르며, 이는 위나라가 야마타이코쿠의 히미코 여왕에게 하사한 거울이라는 설이 있다.
본 유물은 둘레의 형태와 문양 구성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내구(內區)에 6개의 둥근 돌기를 놓고 그 사이에 용과 같은 신수(神獸)와 신선•종자(從者)를 상호 배치하는 전형적인 신수경이다. 외구에는 명문대 혹은 물고기와 도마뱀, 새 등을 그린 좁은 문양대가 둘려있다. 모든 도안의 간략화와 몰드 처리가 서투른 점, 주조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고려할 때 국내산 거울로 추측된다.
그 중 주목받는 것은 삼각연신수차마경으로, 신선과 신수, 산악문과 함께 신선의 이동수단으로 여겨지는 2륜 마차가 한대 그려져 있다. 마차가 그려진 것은 일반적으로는 화상경이라 불리는 종류로, 삼각연신수경에 그려진 귀중한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명문대에는 「상방작경진대호(尙方作竟眞大好) 상유선인부지노(上有仙人不知老)」, 「보자의손수여금석(保子宜孫壽如金石)」 등 삼각연신수경과 화상경에 관용구가 새겨져 있다.
한편 사미다타카라총 고분에서 출토된 거울은 발굴 당시에는 36개에 이르렀다 하며(현재는 26개가 전해짐), 한 고분에서 출토된 수로는 전국 3위에 달하는 규모이다. 가옥문경이라 불리는 거울은 당시의 주거 건축을 그린 귀중한 회화 자료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궁내청서능부 소장)
10003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