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일람
모모야마(桃山)시대 말기부터 에도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다와라야 소다쓰(俵屋宗達)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소다쓰는 겐닌지(建仁寺) 절 소장의《풍신뇌신도(風神雷神図)》병풍과 교토 국립박물관 소장의《학 밑그림 화가권(鶴図下絵和歌巻)》과 같이 금과 은 그리고 화려한 색채를 많이 사용한 장식성 매우 높은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렇지만 한편에서는 동양적 정취가 넘치는 수묵화도 다수 제작하였다.
수묵 기법을 구사한 이 그림은 옛부터 소다쓰의 수묵화 가운데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며 동시에 일본 수묵화의 역사 속에서도 위대한 성과의 하나로 널리 인정받아온 작품이다.
소다쓰 작으로 알려진 수묵화 가운데 연꽃과 농병아리를 모티프로 한 작품이 몇 점 전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이 그림이 가장 뛰어난 솜씨를 보여준다. 종이와 먹의 미묘한 관계를 충분히 잘 알고 있는 화가가, 화가로서 가장 충실했던 시기에 그린 작품이라는 사실은 소다쓰의 다른 수묵화와 비교해 보아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
에도시대 후기 소다쓰와 오가타 고린(尾形光琳)의 재평가 운동을 벌였던 사카이 호이치(酒井 抱一)가 이 그림에 감동한 나머지‘소다쓰 작품 가운데 절품(宗達中絶品也)’이라고 표구 상자에 적어 놓은 것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왼편 아래에 찍혀 있는‘이넨(伊年)’이라고 된 붉은 인주의 도장은 훗날 소다쓰가 경영했던 공방의 상호로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현재 다양한 종류의‘이넨’인장이 찍힌 작품들이 전하고 있다. 그러한 ‘이넨’도장이 찍힌 작품 중에서도 이 그림은 가장 뛰어나다.
소다쓰의 생몰 연대는 확실한 자료가 없어 단정할 수 없다. 1615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옛 오쿠라(大倉) 집안 소장의《연꽃 밑그림 백인일수(蓮下絵百人一首)》에 보이는 연꽃 묘사는 이 그림과 매우 유사하여 이 무렵에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마 소다쓰는 이 시기에 가장 기력이 왕성하고 기술적으로 충실했던 장년기를 보낸 것으로 여겨진다.
100959
0
0